11월쯤 되니 국민연금과 건강보험료 인상된다는 지로 영수증이 날아와서 부랴부랴 국민연금 납부액 조정 신청을 했는데요!
건강보험료는 조정에 실패했지만, 국민연금 납부액은 상당금액 줄일 수 있어서 다행이었습니다.
아래에서 국민연금 납부액 조정 한 후기를 알려드릴테니 저와 같은 처지라면 끝까지 읽어보세요!
국민연금 납부액 조정 후기
작년에는 그나마 벌이가 잘되었지만, 올해만큼 힘든 한해도 없는것 같습니다(다들 힘내자구요!)
그런데 걱정했던대로 잘벌었던 작년 기준으로 국민연금과 건강보험료 인상 영수증이 날아왔습니다.
- 국민연금 : 121,860원 ➡️ 342,630원 (+22만원)
- 건강보험료 : 109,910원 ➡️ 298,960원 (+19만원)
20만원 중후반대 내다가 갑자기 올해부터 60만원 가깝게 돈을 내라니 세상이 무너지는 줄 알았습니다.
특히 국민연금은 안 내고, 안 받겠다는데 왜 강제로 이렇게 징수하는지… 정말 억울했습니다.
솔직히 작년에 많이 벌었으니깐 별수없지..라는 생각도 들었지만, 당장 소득이 줄어서 낼수 있는 형편이 안되는겁니다.
물론 돈을 잘 벌때 저축해놓고, 내년을 준비해야겠지만.. 자영업이 어디 말처럼 쉬운 일인가요?
어쨌든 급한마음에 종합소득세 중간예납을 통해서 올해 소득이 감소한 것을 증명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종합소득세 중간예납 이란?
종합소득세 중간예납은 개인사업자만 가능한데 1년치 소득세를 한번에 납부하는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제도입니다.
일반적으로 전년도 종합소득세의 50%만 납부합니다.
- 만약 2023년 종합소득세가 1,000만원이었다면
- 2024년 중간예납은 500만원(1천만원의 50%)을 납부하게 됨
하지만 올해 사업이 잘 안되어서 실제로 낼 세금이 훨씬 적을 것 같다면, 추계액 신고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온라인 세무사 앱을 통해서도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추계 : (추)정해서 (계)산한다의 줄임말
중간예납은 올해 상반기(1월~6월) 실적을 바탕으로 계산하는데 이 예상 세금이 작년 세금의 30% 미만이면 추계액 신고가 가능합니다.
그래서 저는 이 추계액 신고 결과를 바탕으로 국민연금과 건강보험공단에 정정 요구를 할 생각이었습니다.
국민연금 납부액 조정 결과
작년에 수익이 제법 나와서 세무사 통해서 종합소득세 신고를 했었는데 이번 추계신고도 마찬가지로 세무사 도움을 받았습니다.
(세무사 통해서 진행하시면 신청까지 순식간에 가능합니다. 완전 강추 드립니다)
종합소득세 중간예납 자료를 국민연금 측에 팩스로 보내고나니 전화와서 조정해주겠다고 했습니다.
- 국민연금 : 121,860원 ➡️ 342,630원 ➡️ 57,600원
완전 롤러코스터를 제대로 탔었는데요.. 10만원대에서 30만원대 갔다가 5만원으로 줄었습니다.
국민연금 고갈이니.. 어쩌니 그러면서 받을수 있을지도 모르는 돈을 내라니.. 줄어서 다행이긴 합니다.
하지만 건강보험공단에서는 종합소득세 중간예납 자료로는 불가하다는 내용을 전달 받았습니다.
아쉽지만 내년 11월에 감소된 소득을 바탕으로 다시 건보료 조정신청하기로 마음먹고 일단 올해 버텨보기로 했습니다.
구분 | 23년 납부액 | 24년 납부액 |
국민연금 | 121,860원 | 57,600원 |
건강보험료 | 109,770원 | 298,960원 |
총합 | 231,630원 | 356,560원 |
결론적으로 수익이 많았던 작년 기준으로 건보료만 상승되어 올해 약 12만원 정도 납부액이 늘었네요..
이정도면 그래도 선방한거라 생각합니다. 원래는 60만원대였으니깐요..
저처럼 작년에 비해 올해 너무 힘드신 분들은 국민연금과 건강보험료 조정을 통해서 납부액을 줄여보시기 바랍니다.